예로부터 조선인민이 창조하고 발전시켜온 민족문화유산들가운데는 숟가락리용풍습도 있다.
라선시에 있는 신석기시대유적인 서포항유적에서 발굴된 짐승의 뼈로 만든 숟가락유물과 청동기시대의 유적들에서 나온 짐승의 뼈나 뿔로 만든 숟가락유물들은 우리 선조들이 숟가락을 써온 력사가 매우 오래다는것을 보여주고있다.
조선식숟가락은 음식을 뜨는 가운데부분은 얇게, 그 주변 변두리끝부분은 약간 두텁게, 자루는 길게 하여 숟가락에 담긴 음식이 웃입술에 걸리여 말끔히 입에 들어가게 되여있다.
숟가락의 재료와 형태는 우리 인민의 구미와 기호, 식생활관습에 맞게 금, 은, 자기, 놋 등으로 보다 조형적으로 다듬어지면서 쓸모있게 완성되였다.
우리 인민이 숟가락을 리용하게 된것은 국, 탕, 김치와 같은 국물이 많은 음식을 즐겨 먹은 사정과 관련된다.
식생활에서 반드시 국을 곁들여 먹는것은 우리 인민의 일상적인 식사관습이였다. 평상시 우리 인민은 밥상에 음식을 차려놓고 숟가락을 위주로 하여 음식을 먹었다.
우리 인민은 숟가락을 일정한 방식과 도덕에 맞게 리용하여왔다.
집안식구들끼리 식사를 할 때에는 부모나 웃어른들이 먼저 숟가락을 든 다음에 아래사람들이 드는것을 도덕으로 여겨왔다. 손님과 식사를 할 때에는 집주인이 먼저 숟가락을 들고 손님에게 음식을 권하며 식사를 끝낼 때는 손님이 숟가락을 놓은 다음 집주인이 놓는것을 례절로 삼았다.
19세기에 우리 나라에 왔던 도이췰란드상인 오페르트는 《조선기행》이라는 저서에서 중국과는 달리 숟가락에 음식을 담아서 입에 가져가는데 그 모습이 매우 우아하고 아름다웠다고 썼다.
우리 인민의 고상한 숟가락문화는 오늘도 계속 이어지고있다.
사회과학원 민속학연구소 실장 박사 김지원
조선인민의 숟가락리용풍습
페이지 정보

본문
조선인민의 숟가락리용풍습
Date: 10/06/2024 | Source: Naenara (Kr) | Read\original version at source
추천 0
- 이전글(시론 / 재카나다조선인동포전국련합회)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도 않고 뽑히지도 않는다 24.06.10
- 다음글[동영상음악과 글] 문명부강한 우리 국가의 미래상이 응축된 청춘대기념비전위거리 준공식 성대히 진행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 몸소 준공테프를 끊으시였다 [민주조선] 24.06.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